DFA 차례대로 유한 집합, 입력 문자, 상태 전이 함수, 초기 상태, 최종 상태 집합 DFA는 input symbol을 통해 전이될 수 있는 상태가 하나밖에 없다.Q = {q1, q2, q3}Σ = {0, 1}q1: start stateF = {q2}δ given byδ01q1q1q2q2q3q2q3q2q2(상태 전이표) 여기서 만약 input symbol이 01011이라 해보자.δ(q1, 0) = q1δ(q1, 1) = q2δ(q2, 0) = q3δ(q3, 1) = q2δ(q2, 1) = q2 최종 도달한 상태는 q2이며 이는 수락상태이다.입력 01011의 경우 DFA의 최종 상태가 q2이므로 인식된다.최종적으로 q2에 도달하지 않는 입력은 수락 상태가 되지 못 하는데, 수락상태가 되지 않는 입력 예시..
glibc 2.35 _int_malloc 분석static void *_int_malloc (mstate av, size_t bytes){ INTERNAL_SIZE_T nb; /* normalized request size */ unsigned int idx; /* associated bin index */ mbinptr bin; /* associated bin */ mchunkptr victim; /* inspected/selected chunk */ INTERNAL_SIZE_T size; /* its size */ int victim_index; ..
Deadlock Characterization4가지 조건을 모두 동시에 만족할 경우 Deadlock 발생Mutual Exclusion (상호 배제): 자원이 공유 불가능(Non-sharable)하고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 할 수 있음.Hold and Wait (점유와 대기): Processes hold and request resources. 프로세스가 이미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추가 자원을 요청하며 대기No Preemption (비선점): Resources can't be forcibly reclaimed. 자원을 강제로 회수할 수 없으며, 프로세스가 자발적으로 해제해야 함.Circular Wait (순환 대기): Circular chain of processes waiting. 프로세스 간..
https://sourceware.org/gdb/current/onlinedocs/gdb.html/Python-API.html#Python-API Python API (Debugging with GDB)23.3.2 Python API You can get quick online help for GDB’s Python API by issuing the command python help (gdb) . Functions and methods which have two or more optional arguments allow them to be specified using keyword syntax. This allows passing some opsourceware.org https://sdimitro.g..
inode 구조전반적인 inode 구조는 다음과 같다. inode pointerinode에서 data block으로 참조해준다.직접 포인터(direct pointer) 12개단일 간접 포인터(singly indirect ') 1개이중 간접 포인터(doubly indirect ') 1개삼중 간접 포인터(triply indirect ') 1개그중 그림상 direct blocks~triple indirect 부분을 설명할건데, ext2/ext3/ext4을 떠올리자.이 셋의 파일 시스템 기본 data block의 크기는 4KB이며, 1KB, 2KB, 4KB, 8KB 등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32비트 시스템의 경우 포인터의 크기는 4Bytes(32bit)64비트 시스템의 경우 포인터의 크기는 8Bytes(64b..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